티스토리 뷰
목차
혹시 나도 받을 수 있을까? 2025 근로장려금·자녀장려금 완벽 가이드
혹시 아직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에 대해 잘 모르고 계셨나요?
"나는 대상이 아닐 거야" 하고 그냥 넘어가셨다면, 올해는 꼭 다시 확인하셔야 합니다.
단 10분만 투자하면 여러분의 통장에 최대 330만 원이 들어올 수도 있으니까요.
2025년에는 특히 맞벌이 가구 소득 요건이 완화되면서 더 많은 가구가 지원 대상이 됐습니다.
작년에도 수십만 명이 기한 후 신청으로 혜택을 받았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이 글에서는 국세청 공식 확인을 거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, 누구나 놓치지 않고 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최대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근로장려금·자녀장려금이란?
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정부가 마련한 대표적인 저소득층 근로·자녀 양육 지원금입니다.
단순히 직장인만 받는 게 아니라, 일정한 소득·재산 요건만 맞추면 자영업자, 종교인도 받을 수 있습니다.
- 근로장려금: 일을 하고 있지만 소득이 낮은 가구를 지원
- 자녀장려금: 만 18세 미만의 부양 자녀가 있는 가구에 추가 지원
이 두 제도는 중복 수령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.
즉, 조건만 맞는다면 근로장려금 + 자녀장려금을 한 번에 받을 수도 있죠.
2. 2025년 지급일 — 달력에 표시하세요!
국세청 확인 결과, 2025년 근로장려금·자녀장려금은 8월 28일(목)에 지급될 예정입니다.
작년에도 예고된 날짜에서 변동 없이 지급됐기 때문에, 올해 역시 정시에 지급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TIP: 지급일 하루 전후로 문자나 알림톡이 올 수 있지만, 사기 문자가 많으니 반드시 홈택스·국민비서에서 직접 확인하세요.
3. 신청 대상 — 나도 해당될까?
2025년 8월에 지급되는 대상은 2024년 소득에 대해 올해 5월 1일 ~ 6월 2일 사이에 전기 신청을 완료한 분들입니다.
📍 가구 유형별 소득 기준
가구 유형 | 총소득 기준 |
---|---|
단독 가구 | 2,200만 원 이하 |
홑벌이 가구 | 3,200만 원 이하 |
맞벌이 가구 | 4,400만 원 이하 |
📍 재산 기준
2024년 6월 1일 기준 2억 4천만 원 미만
전세보증금, 자동차, 예금·주식 등 금융자산 포함
📍 자녀장려금 추가 조건
- 만 18세 미만 부양 자녀 1명 이상
- 근로장려금과 소득·재산 요건 동일
- 전문직 종사자, 국적 요건 미충족, 부정 수급 이력자는 신청 제한
4. 신청 못 했어도 괜찮아요 — 기한 후 신청 제도
혹시 전기 신청 기간을 놓쳤나요?
걱정 마세요!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기간: 2024년 6월 3일 ~ 12월 1일
- 감액: 장려금의 5% 차감 (예: 단독 가구 최대 165만 원 → 약 157만 원)
- 방법: 홈택스 웹사이트, 손택스(모바일 앱), ARS(☎ 1544-9944), 세무서 방문
TIP: 5% 감액이 있어도, 받는 것이 무조건 이득입니다.
5.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
2025년 장려금 상한액이 높아졌습니다.
- 근로장려금
- 단독 가구: 최대 165만 원
- 홑벌이 가구: 최대 285만 원
- 맞벌이 가구: 최대 330만 원
- 자녀장려금
- 자녀 1인당 최대 80만 원
TIP: 소득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아도 지원금이 줄어듭니다.
예를 들어 맞벌이 가구는 총급여가 800만~1700만 원 구간일 때 최고액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6. 매년 신청해야 하는 이유
근로·자녀장려금은 매년 반복 지급되는 제도입니다.
올해 신청을 못 했더라도 내년 5월 전기 신청 기간을 꼭 챙기면 감액 없이 전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.
7. 사기 문자 주의
최근 장려금 지급 안내를 빙자한 피싱 문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
정부·국세청·카드사에서는 문자 링크로 신청을 절대 받지 않습니다.
의심 문자는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하세요.
💬 정리
근로장려금·자녀장려금은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.
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, 올해 못 받았더라도 내년을 위해 준비하세요.
특히 8월 28일 지급일을 꼭 기억해 두시고, 아직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하다면 서둘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'자동차·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‑in‑1 에어컨(냉방+난방 겸용 멀티형, 스탠드 + 벽걸이 조합형) (0) | 2025.07.29 |
---|---|
부가가치세(VAT)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5.06.26 |
저궤도 위성(Low Earth Orbit, LEO)이란? (0) | 2025.05.29 |
지역가입자 국민연금 개인 부담금 계산 예시 (0) | 2025.05.27 |
정확한 사운드의 기준, 제네렉(Genelec) 스피커 (0) | 2025.05.19 |